'교원병'이랑 '류머티즘'랑 같은 병인가요?

    '교원병'이랑 '류머티즘'랑 같은 병인가요?

    '교원병' '류마티스'
    '류머티즘 관절염'.
    왠지 모르게 이해하지만 헷갈리거나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지 않을까요.

    교원병과 류머티즘은 구별하지 않는다

    교원병과 류마티스 질환은 같은 질병인 것입니까?

    같은 병이라고 해도 되겠죠. 다만 일반적으로 류머티즘이라고 하면 '관절에 생기는 질병'이라고 생각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류머티즘은 기본적으로 전신 질환인 질병입니다. 관절 부분에만 생긴 류머티즘은 류머티즘 관절염이라고 구분하고 있습니다.

    다시 류마티스 혹은 교원병에 대해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이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원병'으로 통일할까요. 교원병은 자신의 면역이 자신을 공격해 버리는 면역 질환의 일부입니다. 공격의 대상은 장기와 근육, 피부 등 다양하며, 그 각각에 병명이 붙어 있습니다.

    교원병에 포함되어 있는 질병으로는 주로 어떤 것이 있는 것입니까?

    가장 증례로 많은 것은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로 폐나 심장 같은 장기, 머리카락, 관절 등 전신 곳곳에 염증이 생길 수 있는 질병입니다. 또 강피증은 피부 경화가 손가락에서 팔 흉부 등으로 퍼져 나가는 병을 말한다. 근염은 근육에 염증이 생겨 힘이 잘 들어가지 않는 병입니다. 아직 그 밖에도 있어요.

    교원이라고 하는 것은 콜라겐을 말하는 것이라고 하는 이야기도 들어 본 적이 있습니다.

    확실히 콜라겐은 '교원 섬유'라고 번역이 됩니다.뼈와 연골 등에 포함된 콜라겐의 염증을 교원병으로 하고 있던 시기도 있었지만 해석이 달라졌습니다. 실제로 염증이 생기는 장소는 콜라겐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교원병 치료에 대해서

    교원병은 나을까요?

    투약을 통한 '관해'나 '저질환 활동성 유지'가 치료의 목표가 됩니다.'관해'란 약으로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저질환 활동성 유지'란 동일한 약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되지 않는 수준의 증상에 그치는 것을 말합니다.

    치료의 방향성은 나온 증상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면역 활동을 억제하는 것입니까?

    장기에 영향이 없는 경우는 면역 활동을 억제하는 면역 억제제 등을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피부염이라면 바르는 약과 같은 외용 약으로 염증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한편 생명과 관련된 장기의 합병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면역억제제 등의 내복약을 처방합니다.

    교원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이나 경향은?

    유전 요인도 있습니다만, 환경 요인 쪽이 관련성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대표적인 환경 요인으로는 흡연 습관, 다이옥신, 충치 등의 질환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교원병의 발병은 여성에게 많고, 30대에서 50대가 현저합니다. 고령이 되면 면역의 힘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신을 공격하는 힘도 약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나이가 들면서 증상이 안정되는 고령자 분들도 계십니다.

    교원병임을 자각할 수 있을까요?

    교원병에 명확한 사인은 없습니다.'뭔가 이상하다'고 생각되면 병명에 구애받지 말고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으십시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치료처를 소개해 줄 것입니다. 그러나 교원병의 진단을 정확하게 받을 수 있는 전문의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소개된 의원에서 개선이 안 되면 '교원병과'나 '류마티스과'에서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류머티즘 관절염에 대해서

    이번에는 류머티즘 관절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교원병 증상이 관절부에 일어난 경우를 통칭합니다. 그 원인은 역시 면역 시스템의 이상으로 관절 주위의 뼈와 연골이 파괴되어 갑니다. 자각 증상으로 손가락을 움직이기 힘들거나 걷기 힘든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 방법은?

    '메토트렉서트'라고 하는 면역억제제가 첫 번째 선택지입니다.또, 환자의 상태를 보면서, 「생물학적 제제」나 「JAK 저해제」와 같은 다른 약을 병용하기도 합니다.

    교원병을 건강 진단 등을 통해 찾을 수 있는 것입니까?

    그러한 검사를 옵션으로 달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만, 그다지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건강 진단을 통해 예방하는 그런 질병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암과 달리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드물고, 발병 수 자체도 많지 않기 때문에 예방에 대해서는 그렇게까지 신경 쓰지 않아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단, 발병이 나타나면 늦어도 2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합시다.

    정리

    아무래도 콜라겐(교원섬유)의 염증으로 여겨지던 시절에 교원병이라는 명칭이 붙었고, 이와 별도로 관절부에 일어난 특수한 염증을 류머티스 관절염이라고 불러온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연구가 진행되면서 '교원병과 류머티즘은 같은 병'으로 판명됐습니다. 오해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단독 '류머티즘'이라는 말은 쓰지 말고 '교원병' 혹은 '관절에 일어난 류머티즘 질환'이라고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