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언어지연~가르치려 하지 않고 '지금 하는 말 주목'한다
- 임신,육아
- 2021. 12. 29. 23:20
집에서 할 수 있다! 요육 요령 [1]
"아이는 한 살 전후에 의미 있는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고, 한 살 반이 지나면 어휘가 늘어나 점차 2 어문, 3 어문을 이야기하게 된다."-말의 발달에 대해 육아책 등은 대체로 이렇게 적혀 있는 게 많은 것 같습니다. 다만 심신의 발달과 마찬가지로 말의 발달이 느린 아이도 있는 것입니다. 건강 진단 등에서 '말의 지연'을 지적받으면 부모는 열심히 말을 가르치려고 하지만 좀처럼 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말의 발달을 돕기 위해서는 사실 요령이 있어요. 키워드는 '지금 한 말에 주목한다'입니다.
3살 때 2 어문이 안 나오는...
세 살배기 남자아이. '엄마, 아빠, 땡'과 같은 단어는 조금 늘었지만, 2 어문 이상을 이야기하지 않습니다.「○○야, 이리 와」에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 의미의 이해는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3 세아 건강 진단에서 「말이 늦습니다」라고 듣고 과연 초조함을 느낀 부모님.「이것은 뭐야? 저것은 뭐야?」 등이라고 질문하거나 그림책을 읽어 주거나 여러 가지 해 보았습니다만 말이 늘어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고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습니다.
가르쳐도 늘어나지 않는 두 가지 이유
어른이 아이에게 가르칠 경우,
- (어른이) 알고 있는 것을 가르치면서 말을 늘려주고 싶다
- (어른이) 지금 흥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가르치면서 말을 늘려 주고 싶다.
- (어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대한 말을 늘려 주고 싶다
--와 같이, "어른 중심"=일방통행이 되어, (1) 아이가 흥미를 가질 수 없는 가르치는 방법(2) 아이에게 있어서 너무 어려운 가르침--이 되어 버리는 일이 있습니다.
각각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릴게요.
(1) - A 아이가 흥미를 가질 수 없는 가르치는 방법이 되어 버린다.
이것은 아이가 블록을 가지고 놀 때 색종이를 보여주고 색의 이름을 가르치려고 하는 경우입니다.
블록도 색종이도 '놀이'이긴 하지만 아이에게 있어서 지금 관심의 대상이 블록이라면 색종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아이들은 전환(이 경우, 블록놀이를 그만두고=바꿔서, 색종이를 가지고 노는 것)을 싫어합니다. 또, 전환할 수 없었던 경우에, 블록의 색에 대해 묻는 것인지, 색종이의 색에 대해 묻는 것인지 혼란스러워지는 일도. 결과적으로, 아이에게 있어서 그때 흥미가 없는 것은, 말을 배우기 어려워집니다.
(2)-A아이에게 너무 어려운 가르침이 되어 버린다
예를 들면, 아직 단어밖에 안 나오는 아이에게 엄마가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와 같은 3 어문을 가르치려고 하면 너무 어려워서 이해가 안 되고 따라서 습득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고 효과적으로 아이가 언어를 습득하게 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 요령이, 첫머리에 제시한 「지금의 말에 주목한다」입니다. 위의 (1) (2)의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해 봅시다.
'말을 가르친다'에서 '지금의 말에 주목한다'로 바꾸다.
(1)-B블록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는 아이가 하는 말을 캐치한다
'블록'이라고 하면 그 뒤에 '블록'이라고 반복한다
'빨간색(의 블록)'이라고 하면 그 뒤에 '빨간색'이라고 반복하는
(2)-B 단어는 말할 수 있으나 2 어문이 나오지 않는 아이에 대해
'엄마'라고 하면 그 뒤에 '엄마'라고 반복한다
이렇게 지금 한말에 주목하고 그 말을 반복할 경우, 그 말은 아이에게 있어서 지금 관심 있는 것이고, 가르쳐도 어렵지 않습니다. 너무 간단해서'반복만 하면 돼?'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아이에게는 자기가 말한 것을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또, 아이는 어른이 가까이해 주고 있다고 느끼고, 더 능숙하게 많이 이야기하려고 생각하는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2)와 B (1) (2)는 주도권(리드를 잡는 사람)이 어른인지 아이인지라는 점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A는 어른이 먼저 반응하고, 아이가 반응하고, B는 아이가 반응하고, 어른이 반응하는 것입니다. 요육에서는, 아이가 주도권을 잡는(리드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 반복하는 기법은 아이의 반응 뒤에 어른이 따라갈 수 있고 효율적으로 아이에게 주도권을 주면서 말을 연습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 반복한다고 하는 기법은, 「PCIT(Parent Child Interaction Therapy; 부모와 자식 상호 교류 요법)」이라고 하는 행동 요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법(주 1)이나, 「인리 얼 어프로치」라고 하는 치료적 어프로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니터링 법(주 2)을 참고로 하고 있습니다.
전략적으로 허물을 쌓기 위해 반복
전전회(발달장애 어린이가 "결과"를 낼 수 있는 "전략적 장애물 설정"이란) 설명했듯이 "골"을 목표로 하려면 바로 할 수 있는 소목 표를 설정하고 하나하나 달성하면서 스텝업 해 나갑니다(쉐이핑 법). 이때 아이의 특성에 맞게 각 단계의 목표를 설정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전략적 장애물 설정」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말의 습득에도 이것을 응용해, 반복하는 기술이 몸에 익어 오면「+」에도 도전합시다. 아이의 말은 발달에 따라 옹알이→단어(유의어)→2 어문→3 어문…으로 레벨 업합니다. 이러한 경향에 착안하여 전략적으로 장애물을 올리는 즉, 아이가 지금 하고 있는 언어에 착안하여 한층 더 레벨을 파악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한 말을 하나 레벨 업시켜 반복(+α)함으로써, 말의 능력을 극적으로 늘립니다.
예를 들면
- 옹알이를 하면 ⇒ 단어 반복하기: 아이가 '땡' 하면서 자동차 장난감을 갖고 있으면 그 뒤에 '자동차'를 반복한다.
- 단어⇒2 어문 반복: 아이가 블록을 잡으면서 '블록'하면 그 뒤에 '블록을 가지고 있다'라고 반복한다.
마찬가지로 2 어문⇒ 3 어문으로 반복할 수도 있습니다. 반복 + α는 언어 습득에 매우 유용하지만 어려운 표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반복을 연습합니다. 이 반복 +α는 PCIT에서 사용되고 있는 '말 바꾸기' 기법, 인리 얼 어프로치의 '익스팬션'이라는 기법을 참고로 하고 있습니다.
발어가 없을 때는 '지금의 움직임'에 주목하는 방법도
「아이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놀고 있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라는 질문을 받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그럴 때는, 지금의 「움직임」에 주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보면서 '○○가 파란 블록을 가지고 있어요.'와 같이 말을 건다.
스포츠 등의 실황 중계와 비슷하네요. 이것은 아이가 이야기하지 않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물건입니다. 표현하기 어렵지 않도록 잘 궁리하면서 아나운서가 되었다는 생각으로 실황중계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황중계는 PCIT에서 행동 설명이라는 기법을 참고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는 병원에서 진찰을 받읍시다
말의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어, 늦어져도 나중에 성장해 오는 것도 많이 있습니다만, 건강 검진에서 지적되거나 말의 지연으로 아이가 곤란해하고 있을 때는 병원에 진찰합시다.
언어 지연의 원인으로서 발달장애 중에서는 지적장애, 자폐 스펙트럼증 등이 있습니다. 또, 난청도 원인이 되는 일이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한 말을 늘리기 위한 방법='지금의 말에 주목한다'는 발달장애가 주요인이면 어떤 원인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입니다. 다만, 각각의 원인에 대한 지원이나 치료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