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고양이의 귀가 들리지 않는 이유~청각장애의 원인이나 메커니즘부터 생활의 주의점까지

    온몸이 새하얀 흰 고양이는 높은 확률로 귀가 불편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그럼 도대체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피모의 색과 청각이 관계되어 있는 것일까요?최신 연구에 의해 모종의 바이러스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부상해 왔습니다.

    귀가 안 들리는 흰 고양이 비율

    몸 어딘가에 색이 들어 있는 유색고양이와 비교해 온몸이 새하얀 흰고양이에서는 매우 높은 확률로 청각장애를 볼 수 있습니다.과거에 실시된 조사에서 보고된 유병률은 다음과 같습니다(Strain, 2017).

    흰고양이의 청각장애·유병률

    비순혈종

    순혈종이 아닌 흰고양이 256마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한쪽만 들리지 않는 비율이 12.1%, 양쪽 다 들리지 않는 비율이 37.9%

    순혈종

    행동테스트에 의한 청각진단에서는 노르웨장 포레스트 캣 329마리 중 18%, 메인쿤 134마리 중 17%, 터키쉬 앙고라 474마리 중 11%

    BAER 청각진단에서 10종의 순혈 흰고양이 84마리를 조사한 결과 6품종(터키시 앙고라 | 브리티시 숏헤어 | 메인쿤 | 노르웨장 포레스트 캣 | 페르시아 | 포린 화이트)에서 청각장애가 확인되었으며 한쪽성이 9.5%, 양쪽성이 10.7%

    300마리 이상의 터키슈반에서 귀(한쪽 or 양쪽)가 들리지 않는 비율은 전체의 14% 정도로, 머리에 검은 반점이 있으면 정상, 눈이 파란 경우는 고위험

    흰 피모와 파란 눈동자가 공존하는 경우 청각장애 위험이 높아지는 고양이의 청각을 조사할 때 소리에 대한 반응을 보는 행동학적 방법(손뼉을 쳐서 뒤돌아보기 등)과 소리에 대한 뇌의 전기반응을 보는 생리학적 방법(BAER, 청력뇌간 유발반응)이 있습니다.어쨌든 부모님이 흰고양이일 경우 어떤 청각장애를 가지고 태어날 확률은 52~96%라고 하니까 온몸이 새하얀 흰고양이에서는 높은 확률로 청력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흰 고양이의 귀가 들리지 않는 이유

    털의 색이 하얗다면 도대체 왜 귀가 들리지 않게 되는 것일까요?현재 생각되고 있는 청각장애의 발병 메커니즘은 다음입니다(Strain, 2017).

    하얀 피모를 만들어내는 'W유전자' → 귓속의 와우관에 붙어있는 혈관선조 내 멜라닌 세포가 작동하지 않게 됨 → 혈관선조 혈류장애가 일어나 와우관 외벽에 있는 부동선모(stereocilia)가 작동하지 않게 됨 → 외계로부터의 소리가 뇌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와우관 내부에 있는 외측모세포에서 난 부동섬모 현미경 사진 고양이의 피모를 하얗게 하는 유전자는 색소세포인 멜라닌세포의 기능을 정지시켜 결과적으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방해받게 됩니다.멜라닌 생성이 막히면 혈관선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고, 거기서 영양을 받는 부동선모가 기능부전에 빠져 외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없게 됩니다.즉 소리가 고막에 전달되더라도 그 소리 자극이 뇌에까지 도달하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발병 메커니즘은 아직 불분명하다.

    멜라닌 세포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청각 장애가 발생한다면 멜라닌을 생성하지 못하는 흰 고양이는 모두 양쪽 귀를 못 듣게 될 것입니다.그러나 청각 장애의 비율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모든 흰 고양이가 청력을 잃는 것도 아니고, 한쪽 귀만 들리지 않는 변칙적인 형태도 있습니다.

    흰 피모를 형성하는 유전자가 청각 장애에 관련되어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거기에 어떠한 조정 유전자가 관련되어 유병률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생각됩니다.현재 이 조정 유전자가 어디에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또 한쪽 눈만 파란 경우 높은 확률로 같은 쪽 귀가 들리지 않는 현상이 있는데 왜 이런 변칙 패턴이 있는지도 불분명합니다.

    흰고양이유전자와 레트로바이러스

    흰 고양이의 청각 장애에는 의외로 모종의 바이러스가 관계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고양이의 조상은 리비아 삵이므로 원래대로라면 모든 고양이가 맥렐터비, 즉 꿩고양이 무늬를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그러나 실제로는 삼모, 녹, 차 호랑이, 포인트, 검은색 등 다양한 패턴이 존재합니다.이러한 변칙적인 피모 패턴은 모두 고양이가 가축화되면서 생긴 돌연변이에 의해 형성된 것입니다.백반(화이트 스팟)이나 새하얀(도미넌트 화이트)이라고 하는 피모색도 돌연변이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만, 최신의 조사에 의해 그 발현에는 레트로 바이러스가 관련되어 있는 것이 밝혀져 왔습니다.흰고양이의 피모는 고양이 내재성 레트로바이러스 1에 의한 삽입 변이에 의해 만들어진 기존의 사고방식에서는 피모를 하얗게 하는 유전자가 'W유전자'이고, 흰 반점을 만들어내는 유전자가 'S유전자'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W'와 'S'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 실은 'W'라고 하는 유전자의 틀에 의해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고 있습니다.구체적으로는 'WW→전신 새하얗다' 'Ww→협~광범위의 백반' 'ww→와일드 타입(꿩트라)'이라는 것입니다.그리고 또 다른 조사를 통해 이 W유전자가 고양이 B1 염색체상의 KIT유전자에 있다는 사실까지 밝혀냈습니다.더욱 흥미로운 것은 KIT 유전자에 고양이 내재성 레트로바이러스 1(FEV1) 유전자가 삽입됨으로써 이상이 발생하고 흰색 피모와 흰색 반점(백반) 양쪽에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입니다(Song, 2013).

     

     

    고양이 내재성 레트로바이러스1(FEV1)

    원래는 외부에 있던 레트로 바이러스의 일부가 숙주의 체내에 도입된 후, 숙주의 게놈과 일체화해 버리는 것. 덧붙여서 이 내재성 레트로 바이러스를 단서로 하여 고양이가 어떻게 세계에 퍼졌는지 하는 이동의 역사를 해명하려고 한 교토 대학은 연구도 있다.

    고양이 게놈에 삽입된 레트로바이러스의 특징을 통해 이동의 역사를 알 수 있을지도 현재 상정되고 있는 것은 FEV1의 전체 삽입(7125 bp)에 의해 화이트 스폿 유전자(부분적으로 흰색)가 생성되고 FEV1의 부분 삽입(623 bp)에 의해 도미넌트 화이트 유전자(전신 새하얗게)가 생성된다는 메커니즘입니다.쉽게 말해 고양이의 체내에 침입한 레트로바이러스가 우연히 고양이 B1 염색체상의 KIT 유전자와 결합했기 때문에 흰고양이가 태어났다는 것입니다.다만 KIT 유전자가 흰색 피모와 관련된 것은 알 수 있었지만 청각장애와의 관련성에 관해서는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습니다.

    귀가 들리지 않는 고양이의 주의점

    고양이의 귀가 들리지 않을 경우 소음으로 인한 음향 스트레스가 없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소리로 인해 바깥 세상을 알 수 없다는 큰 단점도 있습니다.흰고양이뿐만 아니라 귀가 불편한 고양이나 귀가 나빠진 노묘와 살고 있는 주인은 다음과 같은 주의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갑자기 뒤에서 만지지 않다

    귀가 들리는 고양이라면 뒤에서 다가와도 발자국 소리로 누군가 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지만 귀가 들리지 않는 고양이의 경우 그런 낌새를 눈치채지 못하고 갑자기 만지면 깜짝 놀랄 수 있습니다.이것은 환경 스트레스의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고양이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만질 때는 반드시 정면으로 다가가 눈으로 자신의 모습을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요구하는 소리를 내지 못하게 하다

     인간에게는 「Lombard effect」(롬버드 효과)라고 하는 것이 있어,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 시끄러울 경우, 의식하지 않아도 목소리의 볼륨을 높여, 자기 자신의 목소리가 귀로 들릴 수 있도록 자동 조정합니다.그러나 귀가 들리지 않는 흰고양이의 경우 자신의 목소리에 따른 피드백 조정이 잘 되지 않아 환경 내가 조용하기도 하지만 큰 소리로 울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요구울음이 나오지 않도록 행동욕구를 충족시켜 스트레스 없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면 울음소리로 인한 소음도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방사를 하지 않다

    귀가 들리지 않는 고양이를 야외에 내보내 버리면 자전거나 자동차 소리가 들리지 않아 교통사고를 당해 버릴 위험이 높아집니다.설령 귀가 들린다고 해도 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방사라는 무책임한 기르기는 절대 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