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를 움직이면 현기증을 일으키는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
- 건강
- 2021. 12. 11. 13:16
가만히 있을 때는 일어나지 않고, 머리를 움직이면 특정의 위치에서 현기증이 일어나는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눈앞이 빙글빙글하는 회전성 현기증의 하나입니다.
머리를 움직일 때 발생하는 회전 현기증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은 현기증을 일으키는 귀 질환 중에서 가장 가깝습니다. 가만히 있을 때는 일어나지 않습니다만, 병명에 「두위(토위)」라고 붙어 있는 것처럼, 머리를 움직일 때에 특정의 위치에서 현기증이 일어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현기증이 일어나는 머리의 위치는 사람 각각입니다만, 크게 나누면, 눈약을 잡으려고 위를 향했을 때, 혹은 샴푸를 하려고 아래를 향했을 때 등의 세로의 움직임과, 잠자리를 칠 때 등의 옆의 움직임으로 일어나는 일이 많은 것 같습니다. 빙글빙글 돌리는 회전성 현기증입니다. 1회의 발작은 보통 1분 이내의 단시간에 가라앉습니다만, 다시 머리를 움직이면 눈이 돌린다는 것을 반복합니다. 메스꺼움이나 구토가 있는 사람도 있지만, 통상, 이명이나 난청은 없습니다. 두통은 없지만, 편두통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을 발병하는 빈도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귀석이 벗겨져 삼반규관에 들어가는 것이 원인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의 원인은, 「이석(지석)」이라고 불리는 탄산칼슘의 결정입니다. 내이에는 '달걀우'라고 불리는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과 '반규관'이라고 불리는 회전을 감지하는 기관이 3개 있고, 그 사이에 '이석기(지석기)'로 불린다. 중력이나 몸의 방향 등 직선 가속도를 감지하는 기관이 있습니다.
이석기는 감각세포(유모세포) 위에 젤라틴 질의 이석 막이 있고, 그 위에 수많은 이석이 붙어 있다는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젤리 위에 작은 알갱이가 타고 있는 상태로 머리를 움직이면 이 이석이 움직이는 것으로 감각세포가 자극되어 방향 등을 감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귀의 구조
어떠한 계기로 이석이 벗겨져, 반규관의 어느 쪽인가에 들어가면, 안에서 이석이 움직이는 것으로 림프액의 유동이 일어나, 그 자극으로 현기증이 일어납니다. 본래, 몸이 회전했을 때 일어날 림프 유동이 조금 머리를 움직인 것만으로 일어나 버려, 회전한 것 같은 자극의 정보가 잘못해 뇌에 전해져 버리는 것입니다. 덧붙여서, 반규관은 3개이기 때문에 삼반규관이라고 불립니다.
왜 귀석이 벗겨져 떨어지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일상에서 머리를 부딪치는 등의 물리적 충격 등으로 벗겨져, 되돌아가거나 귀석기 안에서 흡수되는 것을 반복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것이 어느 반규관에 들어가고, 장시간 자고 같은 자세를 계속하고 있으면,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 동안 차례차례로 축적되어 덩어리로서 커져, 현기증을 일으키는 자극이 되는 것은 아닐까 추측됩니다.그러므로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은, 책상이나 수술 후 등, 장시간 같은 자세를 계속하고 있을 때에 일어나기 쉽습니다. 또, 폐경 후의 여성에게 많이 보이는 것으로부터, 나이에 따라 칼슘 대사가 변화하는 것으로, 탄산칼슘인 이석이 떨어지기 쉬워진다고 하는 설도 있습니다 그 밖에는, 돌발성 난청의 후유증으로서 조금이라도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은 어떤 때 일어나기 쉬운가?
- 장시간 자고 있을 때(수술 후 등)
- 장시간 같은 자세로 머리를 움직이지 않을 때(책상, 수공예 등)
- 아침에 일어났을 때
- 폐경 후(여성)
- 교통 사고 후 등 머리에 충격이 가해진 후
- 돌발성 난청의 후유증으로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의 검사, 진단, 치료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은 며칠 만에 자연적으로 경쾌합니다. 메스꺼울 정도로 증상이 강하지 않고, 두통이나 마비, 삐걱거림이 돌지 않는 등 뇌의 병을 의심하는 증상이 없으면, 침착할 때까지 휴식을 취해 모습을 봐도 상관없습니다. 증상이 강한 경우나 다음날까지 멈추지 않는 경우는 이비인후과를 진찰합시다.
이비인후과에서는 현기증의 특징과 증상을 문진하고 어떤 질병인지 판별합니다. 이명이나 난청, 귀의 폐쇄감 등이 있으면, 돌발성 난청이나 메니에르병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맥경화에 의해 혈관이 딱딱해지는 것으로 혈류의 조정이 잘 되지 않게 되어, 일어났을 때에 뇌혈류 부족으로 현기증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은 어느 쪽인가라고 하면 일어난 상태로부터 누워 있을 때에 강하게 현기증이 나오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러한 특징을 세세하게 문진 하는 것으로 판별합니다.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이 의심되는 경우, 「프렌젤의 안경」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안경이나 「적외선 카메라」로 눈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두위·두위 변환 안진 검사」를 실시합니다. 이 검사로 머리를 움직일 때 눈이 좌우로 흔들리는 "안진"이 일어나면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으로 진단됩니다. 게다가, 머리나 몸을 움직여서 이석을 되돌리는 치료법 「두위 치료(부유 이석 치환 법)」를 실시합니다. 이 치료법은, 가장 이상이 일어나기 쉬운 후반 규관에 생긴 부유 이석을 내는 경우에 유효합니다. 7할 정도의 사람에게 유효한 것으로부터, 1주일 이내에 낫는다고 말해지고 있습니다. 또, 그 자리에서 현기증이 가해지는 사람도 있습니다. 덧붙여 이 치료법은 현기증 전반의 치료에 유효한 것은 아닙니다. 자연 치료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이며, 통증이 있는 사람, 경추나 요추에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는, 이 치료는 실시하지 않습니다.
그밖에 증상에 따라 항 현기증, 항불안제, 수면 도입 약, 내이의 순환을 개선시키는 약 등을 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에 의해, 대부분은 1~2주간으로 경쾌합니다만, 드물게 장기간 치유하지 않는 난치성의 사람이나, 뇌의 병 등 다른 병이 숨어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좀처럼 치유되지 않는 경우는, 이비인후과를 진찰합시다.
불안을 통제하고 적당히 머리를 움직여
처음으로 발작을 경험했을 때는 뇌에 문제가 일어난 것이 아닐까 불안해지거나, 증상이 강하면 머리를 움직이는 것이 무서워져 버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은 치료하기 쉬운 질병입니다.
반복하지 않기 위한 대처법으로서는, 과도하게 무서워서 머리를 움직이지 않는 것보다는, 가능한 범위에서 가능한 한 적극적으로 여러 가지 방향으로 머리를 움직이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 머리에의 충격은 피하고 싶습니다만, 머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같은 자세를 장시간 계속하지 않고, 적당히 움직이는 것도 유의합시다.
취침 중에는 잠자리를 치는 편이 좋고, 잠자기 전에 2~3회 베개 위로 잠자리를 하거나, 머리를 좌우로 흔들어서 자는 것을 추천합니다. 베개 없이 자면 귀석기가 뒤로 기울어져 귀석이 반규관에 들어가기 쉬워지므로, 어지러움이 일어나기 쉬운 사람은 머리의 위치를 약간 높여서 자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중에는 진동이나 회전 등의 자극에 대한 전정 자율 신경 반사 전반이 과민해져 현기증을 일으키기 쉬워지고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 생활 리듬이 흐트러지면 자율 신경 기능이 미치기 때문에 생활 전반을 규칙적으로 정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