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병원 진찰 유무, 감기약의 특징, 주의점 ,자연 치유력을 높이는 방법 등

    썸네일

    아이가 감기에 걸려서 힘들 것 같으면"바로 감기약을 먹이는 것이 좋을까?"라고 아빠나 엄마가 당황할 수도 있겠죠. 그러나 자가 판단으로 시판 약을 먹여도 좀처럼 듣지 않고 오래 지속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는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병원에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은지, 처방되는 감기약의 특징이나 복용할 때의 주의점 외에 약에 의지하지 않고 자연 치유력을 높이는 방법 등을 설명하겠습니다.

    아이의 감기는 병원에 가야합니까?

    주로 상기도(코, 목, 후두)가 바이러스, 세균 등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킨 상태를 감기(감기 증후군)라고 부릅니다. 상기도의 염증이 하도(기관이나 기관지)까지 퍼지면, 콧물·코막힘·재채기로 시작해, 가벼운 인후통·기침·가래 등의 증상도 보이게 됩니다. 또한, 발열, 두통을 수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이라면 일반적으로 1~2주 내에 자연적으로 낫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한편, 아이는 면역기능이 미숙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낮으며, 중증화 되어 생명에 지장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감기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세균에도 감염되어 폐렴이나 중이염 등을 동반할 우려도 있습니다. 분명히 아이가 축 늘어져 있거나 기운이 없을 때나 감기 증상이 심각한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에는 우선 소아과에서 진찰을 받습니다.

    어린이의 감기약이란?

    감기의 원인 중 대부분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입니다. 원인 바이러스에 직접 효과가 있는 약은 없지만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을 막는 항균제(항생물질)나 감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약이 병원에서 처방될 수 있습니다.

    항균제(항생제)

    항생제는 세균을 퇴치하기 위한 약이기 때문에 감기 바이러스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전형적인 감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항생제를 처방하지 않는 의사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다만, 감기에 의해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면 세균이 폐에 침입하기 쉬워져서 폐렴을 일으키는 등 다른 질병을 병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의사로부터 이러한 세균의 2차 감염·혼합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항균제를 먹도록 지시받기도 합니다. 또한 급성 인두염이나 편도염, 기관지염 등을 일으키고 있어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균제가 처방될 수 있습니다.

    증상을 완화하는 약

    감기 증상이 심한 경우 완화를 위한 약을 처방받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열이 나서 축 늘어져 있을 때는 해열제를 사용하여 체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침이 심하고 호흡이 힘들거나 하는 경우에는 기침약을 먹으면 밤에 푹 잘 수 있게 하여 편해질 수 있습니다. 이것들은 감기의 근본적인 치료가 되는 것은 아니고, 대증 요법으로 복용하는 약입니다. 시판되는 감기약도 감기 증상들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아빠나 엄마가 자가 판단으로 아이에게 먹일 것이 아니라 병원에서 증상을 보고 받은 후 적절한 약을 처방하면 안심입니다. 과거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 약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에게 알려 주십시오.

    아이에게 감기약을 마실 때의 주의점은?

    아이가 감기에 걸려 열이 나거나 하면 걱정이 되지만, 함부로 감기약을 먹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항생제는 쉽게 복용하지 않습니다.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인 감기에 대해 항균제 복용을 쉽게 반복하면 평소 기관 등에 있는 세균이 항균제에 내성을 갖게 되어 버려 효과가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항생제가 체내의 상재균(선인균)을 공격해 버려, 장염을 일으키는 케이스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세균 감염증의 예방 등의 목적으로 의사로부터 항균제가 처방되었을 경우에는, 정해진 양·회수를 지키고, 복용 후에 알레르기 반응이 나와 있지 않은지, 아빠나 엄마가 잘 살펴봐 주세요.

     

     

    증상 완화의 약도 남용하지 않는다

    감기에 걸렸을 때 기침과 콧물이 나오는 것은 바이러스에 대한 자연스러운 면역반응이기도 합니다. 증상 완화를 위해 대증요법으로 함부로 약을 복용하면 몸의 면역력이 생기지 않고 오히려 감기에 걸리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복용량과 빈도에 주의합니다. 감기약을 복용하기 전에 우선 아이의 증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열이 나도 건강하게 놀고 있거나 식사를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약을 먹이기 전에 조금 상태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판단을 내리지 못할 때에는 소아과에서 진찰을 받으면 안심이 될 것 같습니다.

    아이의 감기를 약에 의존하지 않고 치료하는 방법?

    감기의 원인이 되고 있는 바이러스에 직접 효과가 있는 약이 없는 이상, 가능한 한 빨리 감기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자연 치유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사항에 주의해 아이를 간병을 해 주세요.

    ● 휴식을 취하고, 확실히 수면을 취한다
    ● 방을 따뜻하게 유지, 적당한 습도를 유지한다
    땀을 흘리면 자주 갈아입고, 몸을 차게 하지 않는다
    ● 스포츠 드링크나 경구 보수액 등으로 수분 보급한다
    ● 소화가 잘되는 식사를 한다 

    아이의 기침이 심할 때에는 감기에도 마시기 좋은 꿀이 들어간 파인애플 주스와 생강탕 등을 추천합니다. 단, 꿀은 1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절대 주지 않습니다.

     

     

    어린이의 감기약은 필요할 때만 먹이자

    아빠나 엄마는 자신이 감기에 걸렸다면 참을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자신의 아이에 관한 이야기가 되면 걱정해 버리는 것입니다. "즉시 약을 먹이는 것이 좋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지만, 함부로 마셔도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우선은 소아과에서 진찰을 받아 의사와 상담해 봅시다. 또한 감기를 빨리 치료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충분한 휴식과 보온·보습, 영양가 있는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잘 관리해 주세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