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되는 코막힘 스프레이는 계속 사용하면 안 좋나요!?

    코막힘 스프레이

    꽃가루의 계절이나 취침 전 등에 일어나기 쉬운 코막힘. 시판되고 있는 스프레이 타입의 약 중에는 코의 거리를 상당히 개선해 주는 것이 있다. 그러나 권할 수 없는 약이라고 단언한다. 그것은 왜일까. 또 코막힘을 개선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상용하면 몸에 내성이 생겨 역효과를 낼 수도?

    시판되고 있는 코막힘용 스프레이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 등이 있습니까?

    계속 사용하다 보면 스프레이를 뿌려도 금방 코가 막히거나, 이윽고 약이 효과가 생기거나 하는 것입니까. 이것을 '내성'이라고 하며, 특히 시판되고 있는 스프레이 타입의 점이 약은 그 경향이 강한 것 같습니다.

    어, 약이 듣지 않게 되는 건가요?

    네. '내성'을 알기 쉽게 바꿔 말하면 '익숙함'이죠. 몸의 익숙함에 따라 약이 듣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약 성분 때문에 비염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덧붙여서, 코 스프레이 타입의 약을 우리는 '점이 약'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코막힘을 해소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용 횟수를 가급적 자제하고 힘들 때만 한정해 주십시오. 또한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처방하는 스테로이드 점이 약이라면 예외는 아닙니다. 오히려 장기간 그리고 정기적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습니다.

    꼭 시판 품을 사용하고 싶을 때는?

    예를 들어 1 일 1 회를 목표로 자기 전에 힘들 때에만 한정해서 사용하는 정도라면 상관 없습니다.다만 1일 1회라도 1년을 통해 상용하게 되면 내성 위험이 불가피합니다. 꽃가루 시즌에 한정하는 등 몸이 "낯설지 않게" 해 주세요.

    겉모습은 같아도 목적이나 내용물이 다른 두 종류의 점이 약

    아까 의원에서 처방하는 점이 약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스테로이드 점이 약을 말씀하시는군요. 이 점이 약의 목적은 코막힘의 근본 원인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항염증뿐만 아니라 항알레르기 작용도 있기 때문에 정해진 횟수나 용법을 지켜서 계속 사용하시면 됩니다. 의사가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기간은 코막힘이 신경 쓰이지 않을 때도 포함입니다.

    시판 약으로는 '근본 원인 치료'가 되어야지?

    네. 대부분의 시판 중인 점이 약은 혈관 수축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혈관의 수축에 의해 코 점막의 부기가 빠지고 코를 통과시키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그때 한정적인 대증 요법이지 진정한 의미의 치료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양쪽 점이 약을 외모부터 구별할 수 있는 것입니까?

    성분표 등을 보면 알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만, 일반인이 판단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시판되고 있는 약은 모두 혈관 수축제 유형이라고 생각해 두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 이 비인 후과 의사 입장에서는 시판 약 자체를 별로 추천할 수 없습니다.

    이미 시판 약에 내성이 있는 경우 원래대로 돌아가나요?

    돌아갑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테로이드 점이 약으로 바꾸거나 먹는 약으로 변경하도록 합시다. 무엇보다 혈관 수축제 타입의 점이 약에서 멀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작 코막힘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안다

    애초에 코막힘은 왜 일어나는 걸까요?

    선천적인 코 모양이나 축농증 같은 고유한 질병을 제외하면 알레르기성 비염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스테로이드 점이 약은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병원에서 진찰을 받지 않고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까?

    여러 요인이 겹쳐 있거나 천식을 병발하고 있으면 스스로 개선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역시 이비인후과 진료가 필요하다고?

    진찰이라기보다는 '상담' 정도의 가벼운 마음으로 부담 없이 내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치료로 진행될지 여부는 그 때 결정하면 되는 것입니다. 일단 지금 일어나고 있는 문제를 파악해 보도록 하죠.

    정리

    시판되는 점이 약을 자신만의 판단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그 전에 닥터의 지시를 받는 것. 그것이 이번 결론입니다. 중독이 되고 나서 진찰을 받을 정도라면 사전에 의사와 상담해 보는 것은 어떻습니까. 게다가 근본이 해결되면 약 사용조차 불필요해질지도 모릅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